햇살론17 보증서와 보증료가 궁금해요

햇살론17은 국민행복기금이 100% 보증해주는 고금리 대안상품입니다. 고금리대출을 불가피하게 이용하고 있는 최저신용자에게 적합한 상품으로 햇살론17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보증서가 필요하죠. 그럼 보증서를 발급받는 방법과 보증료는 어떻게 될까요?

햇살론17 지원내용

보증서 발급 방법

햇살론17 이용절차는 2가지로 구분됩니다. 일반보증과 특례보증인데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보증서를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 일반보증 : 은행 방문 또는 앱으로 신청 > 보증심사 > 보증서 발급
  • 특례보증 :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방문 > 상담 > 심사 > 보증서 발급

특례보증은 무조건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 방문해서 상담을 통해 보증서를 발급 받고, 보증승인접수번호를 지참해서 은행에 방문해서 신청하면 됩니다.

보증료는 얼마일까?

정부에서 지원하는 대출을 이용해 보면 아시겠지만 무조건 보증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정부 기관에서 보증을 서주는 대신 받는 서비스 요금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보증료는 매월 납부하는 대출원리금과 함께 납부하면 되는데, 연 13.4%~13.9%의 보증료를 내야 합니다. 즉, 대출받은 금액에 보증료를 곱하면 내가 내야할 보증료를 알 수 있습니다.

2020.12.16